임상시험에서 통계팀은 무엇을 할까? 설계 단계에서 샘플사이즈 계산부터 통계 분석, 규제기관 대응까지 전 과정을 쉽게 설명한 글입니다.
📊 임상시험에서 통계팀은 무슨 일을 할까? – 데이터 뒤에 숨은 과학자들
“데이터는 많다. 그런데 해석은 누가 하지?”
임상시험은 단순히 약을 투여하고 결과를 보는 일이 아닙니다. 환자의 반응은 어떻게 측정할지, 몇 명이 참여해야 효과를 입증할 수 있을지, 부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등 '수치로 증명하는 작업'이 핵심입니다.
바로 이 수치와 해석의 과정을 담당하는 사람들이 **임상시험 통계팀(Statistical Team)**입니다. 이들은 임상시험 전부터 끝날 때까지, 모든 데이터의 기획, 분석, 해석을 책임집니다.
1️⃣ 임상시험의 시작: 설계 단계에서 통계팀의 역할
🔹 “얼마나, 어떻게, 왜?”를 설계하는 사람들
임상시험은 시작 전부터 통계팀이 개입합니다. 이들은 연구의 과학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통계적 설계(statistical design)**를 담당하죠.
주요 역할:
- 샘플 사이즈 계산 (Sample Size Calculation)
“몇 명의 환자가 참여해야 이 약이 효과가 있다는 걸 입증할 수 있을까?”를 계산
→ 과소하면 통계적으로 의미 없고, 과대하면 시간·비용 낭비 - 무작위배정(Randomization) 설계
시험군과 대조군을 공정하게 나누는 방식 설계 (블록, 층화 등) - 시험 설계 유형 결정
평행 설계, 교차 설계, 비열등성 시험 등 적합한 설계 제안 - 통계분석계획서(SAP, Statistical Analysis Plan) 작성
어떤 데이터로 어떤 분석을 할지 명문화. 규제기관에 제출
이 단계에서 통계팀이 개입하지 않으면, 임상시험은 ‘근거 없는 실험’이 될 수 있습니다.
2️⃣ 임상시험 진행 중: 중간 분석 및 데이터 검토
🔹 시험이 진행되며, 통계팀은 데이터를 ‘살핀다’
- 중간 분석(Interim Analysis)
장기간 임상시험에서, 중간 결과를 바탕으로 조기 종료 또는 조정 여부 판단
(예: 약효가 너무 뚜렷하거나, 효과가 없는 경우) - 데이터 이상치 탐지 및 패턴 확인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치, 입력 오류 가능성 등 발견 시 DM팀과 협업 - 맹검 유지(blinding check)
시험 결과에 편향이 생기지 않도록, 결과를 해석하지 않으면서도 통계적 흐름을 점검
3️⃣ 임상시험 종료 후: 데이터 분석과 결과 해석
🔹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가?”를 판단
시험이 끝난 후, 통계팀은 데이터 매니지먼트팀으로부터 **클린 데이터(Cleaned Data)**를 받아 분석을 시작합니다.
주요 분석 업무:
- 1차/2차 유효성 평가 분석
예: 약 복용 후 혈압 감소가 대조군보다 유의미하게 높은가? - 안전성 분석 (Safety Analysis)
이상반응(AE), 중대한 이상반응(SAE), 사망률 등 - 하위군(Subgroup) 분석
고령자, 남성/여성, 기저질환 유무 등 그룹별 차이 확인 - 감수성 분석(Sensitivity Analysis)
분석 조건을 바꿔도 결론이 유지되는지 검증
통계 분석 결과는 임상시험 종합보고서(CSR, Clinical Study Report)에 포함되어, 규제기관 제출 자료의 핵심이 됩니다.
4️⃣ 통계팀이 사용하는 도구와 시스템
도구 | 용도 |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 데이터 정제, 통계분석, 테이블 생성 등 |
R / Python | 고급 통계 모델링 및 그래픽 시각화 |
nQuery, PASS | 샘플사이즈 계산 도구 |
EAST | 중간 분석 설계 및 적응형 시험 설계 도구 |
이외에도 eCRF 시스템과 연동하여 클린 데이터셋을 활용합니다. DM팀과의 협업이 중요한 이유죠.
5️⃣ 통계팀의 결과물: CSR, 발표자료, 규제 대응
임상시험이 완료되면 통계팀은 다음의 주요 산출물을 제공합니다:
- 통계분석결과표 (Table, Listing, Figure; TLF)
- 통계 파트 요약보고서 (Stats Summary Report)
- 임상시험 종합보고서(CSR) 내 통계 파트 작성
- KFDA, FDA 등 규제기관 질의응답 대응
- 학회 발표/논문용 그래프, 분석자료 제공
실제로 신약 허가 심사 시, 가장 많이 질문 받는 대상이 바로 통계 담당자입니다.
6️⃣ 임상시험에서 통계팀이 없다면?
항목 | 문제점 |
샘플 사이즈 오류 | 효과 입증 실패 or 자원 낭비 |
잘못된 분석 설계 | 규제기관 승인 거부 가능 |
결과 해석 오류 | 실제로 효과 없어도 효과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음 |
중간 분석 미흡 | 안전성 문제 간과 가능성 |

✅ 정리: 통계팀은 임상시험의 과학성과 신뢰성을 지키는 핵심
임상시험에서 ‘숫자’는 단순한 결과가 아닙니다.
그 숫자를 기획하고, 분석하며, 설명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통계팀의 역할입니다.
만약 DM팀이 ‘데이터 품질’을 관리한다면, 통계팀은 그 품질 좋은 데이터를 해석해 근거를 만든다고 볼 수 있죠.
'세상만사 관심 >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B에 설치하는 포터블 OS (Windows & Linux) (3) | 2025.06.03 |
---|---|
AI가 바꾼 임상시험: 기술, 기업, 성공 사례까지 (2) | 2025.06.02 |
임상시험에서의 DataManagement, 보이지 않는 공로자들 (0) | 2025.06.02 |
그래픽카드 성능과 가격의 변천사: GPU 진화의 모든 것 (0) | 2025.06.01 |
다이어트약 개발과 임상시험 단계별 과정 (5) | 2025.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