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4/12 3

근무 태도

관리직이되면 팀원관리가 가장 어려운부분이라고 생각하고 팀장업무에 임했었다.이친구들과 일한다면 무엇이 중요할까라는 기준을 세우는게 처음으로 가장 고민했던 부분이었다. 관리자와 팀원간의 성형이 다르기 때문에 정답은 따로 없는게 맞다라고 생각한다. 나는 신뢰가 가장 중요했다. 이친구들이 경력이 낮아 “지금”은 불완전 하더라고 점차 경력에 따라 안정적인 직원이 되어갈 꺼란 믿음으로 대하였고, 운이 좋게도 특별하게 모난 친구들이 없어 잘 따라주어 팀원들이 무슨의견을 내더라도 긍적적으로 받아들이고 생각을 해보게 되었고 내 의견을 오해없이 잘 수행해주는 팀원들이었기에 지금 생각해보면 결국 내가 있은 팀의 가장 중요함은 “신뢰”였다고 생각된다. 물론 업무나 의사소통에 있어 문제는 없었지만 몇가지 지적을 해줌에도 아주 ..

업무 영역 싸움

팀장을 해오면서 어려움은 팀원들의 업무량 조절이 가장 컸었다.비슷하지만 다른 일을 하는 팀은 본인들이 일을 해보지 않았기에 우리 팀이 맡은 업무를 쉽게 이야기함과 동시에 업무가 쉬우니 추가적으로 일을 가져가라고 한다.일을 가져가고 새로일이 추가된다면 납득하겠으나 실상은 그렇지 않고 그저 본인들의 업무량을 적게 함이 목적이다.주로 내가 했던 것들은 그런일을 넘겨받지 않도록 싸움과 동시에 우리 업무가 쉽지 않다는 것들을 어필하는 일이 많았다. 그 과정에서 친했던 상사와의 관계도 멀어지게 되었다. 결국 퇴사를 하게 된것은 그 구조가 개선되지도 않고 계속돼서 업무가 몰리나 해결할 의지가 없어 보이는 윗선들과 내가 요청을 해도 듣지 않음에 질려버렸고 그 상태가 계속되었을 때 팀원들이 해야 할 업무가 상상이 되질 ..

팀장이 되다.

한 회사를 오래 다니다 보니 팀장직을 준다.대기업은 아닌지라 인력이 모두 한 번에 빠져나간 시점에 시킬만한 사람이 없다 보니 마지못해 온 자리처럼 느껴졌었다.많은 사람들이 회사 운영에 지침에 의문과 실망을 이기지 못하고 퇴사 하였다.나보다 한참 먼저 온 선배들이 부지기 수로 퇴사하였고 나도 퇴사를 생각하던 시기였다.어떻게 빠질까 고민하던 찰나 선임들이 다 나가버린 탓인지 돌고 돌아 나에게 팀장직을 제안했었다.나 또한 적지 않은 경력에 이걸 고민하고 나한테 제안을 했어야 하나 싶을 정도로 나름 자존심이 많이 상하는 제안이기도 했다.운영자는 상사나 경영자로서는 내가 생각해 보기에는 정말로 최악인 사람이었다.거절할까 했었으나 때마침 사람들이 나가고 해당 공백을 매우기 위해 아무것도 모르는 신입들이 많이 입사했..

LIST